김니은 
KimN's Blog
김니은 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Algorithm
      • Programmers
    • Develop
      • Swift
      • Flask
      • RubyonRails
      • AWS
      • Ardunio
      • Vue
      • Node.js
      • Infra
      • CS
    • IT Story
      • Hackintosh
      • GitHub
      • IT Review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인기 글

태그

  • 카카오 챗봇
  • TOAST
  • Code Snippet
  • SWIFT
  • SWIFTUI
  • Ruby on Rails
  • Ruby
  • 항상 맨 위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반응형
hELLO
김니은 

KimN's Blog

[아두이노] 미니로봇을 제작해보자
Develop/Ardunio

[아두이노] 미니로봇을 제작해보자

2019. 9. 10. 22:57
반응형

MINI 로봇의 부품은 3D프린팅하여 제작하였습니다.

 

먼저 제작할 모습을 디자인한 후 부품 별로 다시 분해하여 3D프린팅을 합니다.

 

하드웨어 부품 List

 

위의 이미지는 하드웨어 부품 목록입니다.

 

  • EMP Motor Sheld 1ea
  • Ardunio 1ea
  • ServeMotor 1ea
  • DC Moter 2ea
  • Battery Holder 1ea
  • Battery (18650 / 3.7V) 2ea
  • Ultrasonic Sensor & Cable 1ea
  • Bolt & Nut

 

 

조립 순서

 

앞바퀴 2개를 몸통에 위 그림과 같이 조립을 해줍니다. 이 때 너무 꽉 조이면 바퀴가 움직이지 않기에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조여줍니다.

 

 

뒷바퀴에 모터를 넣은 후 나사로 조여줍니다.

 

 

 

뒷바퀴 2개를 모터에 집어넣은 후 선을 밖으로 빼줍니다.

 

 

바퀴 연결하는 선을 앞바퀴가 뒷바퀴를 감아 이어줍니다.

 

 

 

Servo Moter와 Ultra Sensor를 머리부분에 넣은 후 나사로 조여 조립합니다.

 

 

 

머리부분을 장착한 후 위에 차례대로 Ardunio, Sheld를 장착합니다. 그리고 뒷부분엔 건전지를 장착합니다.

 

차례대로 장착을 하게 되면 아래그림과 같은 로봇이 제작됩니다.

 

 

MINI로봇은 핸드폰에 블루투스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원리입니다.

디자인은 Autodesk의 123D_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, 아두이노에 모터와 울트라센서, 스테퍼 모터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수동 작동과 자동 작동모드가 있습니다.

자동 작동은 울트라 센서에 거리에 따라 멈추고 움직이며, 스태퍼 모터로 머리부분을 움직이여 방향을 전환합니다.

 

https://github.com/rile1036/Arduino_MINIRobot

 

rile1036/Arduino_MINIRobot

Contribute to rile1036/Arduino_MINIRob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위의 주소에 아두이노 파일과 123D_Design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    김니은 
    김니은 

    티스토리툴바